사업안내
- [HiVE 2유형] 직업전환교육기관 지정·운영 시범사업이란?
- HiVE(Higher Vocational Education hub district)사업은 전문대학이 광역자치단체와 협력하여 지역특화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수준별 DX역량 교육과정 및 지역 산업체 수요 맞춤형 재직자 DX교육과정을 제공하여, 디지털 전환 시대를 대비한 新중장년의 직업전환교육기관(DX-Academy) 역할 수행을 지원하고자 기획된 사업입니다.

사업목표
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신중창년층의 직업전환 및 경제적 안정성 확보를 지원하고 디지털시대의 직업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여 지역발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.추진전략
-
01
맞춤형 교육콘텐츠 개발
신중장년 대상으로 DX전환 교육을 통해 신산업에 맞춘 기술과 역량을 갖추기 위한 콘텐츠를 개발
-
02
DX협력 지원체제
협력적 지원 체계와 혁신적인 교육 지원프로그램을 구축하여 신중장년의 교육 참여를 가능하게 하는 디지털 전환(DX) 환경을 제공
-
03
취업/창업/직업전환 네트워크 구축
DX교육을 이수한 신중장년 대상, 직무 전환 지원을 위해 진로 지원 서비스와 기업 연계 네트워크를 강화, 창업 지원 프로그램을 확대
세부사업계획
교육과정운영
- 마이크로 · 나노디그리 및 자격취득 과정
- DX리터러시 : 13과정 / DX기초역량 : 42과정 / DX전문역량 : 20과정
구분 | 연계산업 | 주요내용 | 수준 | 주력대학 |
---|---|---|---|---|
1 | 지능정보서비스 라이프케어 | 디지털 리터러시 13개 교과 | L - 리터러시(literacy) |
부산과학기술대학교 부산경상대학교 부산여자대학교 |
2 | 제조뿌리산업 : 초정밀산업체맞춤 | AI 기반 인력양성 및 디지털산업 비즈니스 SF PL&PI 과정 |
L - 리터러시(literacy) I - 기초역량(intermediate) A - 전문역량(advance) |
부산과학기술대학교 |
3 | 제조뿌리산업 : 자율주행 | 이미지정보 및 부품산업 AI 데이터 구축 |
L - 리터러시(literacy) I - 기초역량(intermediate) A - 전문역량(advance) |
부산과학기술대학교 |
4 | 제조뿌리산업 : 탄소 | 탄소저감 관련산업 AI 데이터구축 및 분석 |
|
|
5 | 지능정보서비스 | DX디지털 콘텐츠 제작 온라인 상품화 연계 |
|
|
6 | 보건 및 헬스케어 | 디지털교육지도 보건복지 및 의료케어 |
|
|
학습·진로컨설팅
- 교육 대상자의 분석을 기반으로 한 보유 경력과 희망 기술에 맞춘 최적화된 진로 컨설팅 및 밀착 상담을 통해 실질적인 취업 및 창업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고, 재직자 교육을 포함한 직업 전환을 지원하는 총 10개의 직접 지원 컨설팅 프로그램을 제공
- 취업 및 창업 활성화를 위해 교육 대상자의 이력과 보유 경력을 기반으로 한 상담 체계를 확립하며, 이를 통해 S-MBA(브랜딩 및 시제품 제작) 프로그램을 포함한 사전 교육을 제공
부산 산업체 맞춤형 DX지원
- 지능형기계 : 뿌리산업 소부장
- 초정밀 소재부품 : 반도체
- 반도체 : QC제어 UX기반 제어정보
- 스마트해양 : 조선해양플랜트 정보지능화
- 소부장 : 가공 및 공정
- 자율주행 : AI 데이터 레이블링 관리자
- 디지털경제 : 디지털 비즈니스 전환
기대성과 및 예상효과
DX 교육을 활용하여 지역 산업을 활성화하고 경제 활동 참여를 증대시키며, 미래의 교육 수요에 기반한 디지털 교육과 융합 교육을 특성화한 대학으로 발전
-
정량적 측면
- 지역산업 연계 DX교육과정 이수
: 870명 이상 - 교육을 통한 지역경제 파급효과
: 40억 재원 투입 → 352억(8.7배)
- 지역산업 연계 DX교육과정 이수
-
정성적 측면
- DX변화에 대응역량을 갖춘 인재 양성
- 신중장년 직업전문성 향상 및 사회적 책임 이행 증가
- 노동력 향상 및 신중장년의 경제활동 참여 증대